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구현클래스
- find
- 요소
- createTempFile
- java
- 문자열을 배열
- 필드의다형성
- 공백 처리
- 매개변수참조
- 익명구현객체
- 자동타입변환
- 정적메소드
- 오버라이딩
- 타깃타입
- 인터페이스
- jQuery
- 상수필드
- 추상메소드
- map에서key와value
- 객체타입확인
- 디폴트메소드
- 람다식
- 자바
- 인스턴스메소드
- 배열을 문자열
- 상속
- ZipInputStream
- 생성자참조
- 인터페이스의역할
- 선택한요소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상수필드 (1)
코드지우개

인터페이스의 역할 자바에서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사용 방법을 정의한 타입이다. 인터페이스는 개발 코드와 객체가 서로 통신하는 접점 역할을 한다. 개발 코드 가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를 호출하면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 시킨다. 그렇기 때문에 개발코드는 객체의 내부 구조를 알 필요가 없고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만 알고 있으면 된다. 개발 코드가 직접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하면 간단한데, 왜 중간에 인터페이스를 두는지 의문점이 생길 텐데 그 이유는 개발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, 사용하는 객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.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객체가 아니라 여러 객체들과 사용이 가능하므로 어떤 객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실행 내용과 리턴 값이 다를 수 있다. 따라서 개발 코드 측면에서는 코드 변경 없이 실..
카테고리 없음
2023. 4. 5. 18:29